본문 바로가기
기술공학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의 청각 및 뇌 손상 가능성에 대한 연구

by Mongklava 2025. 2. 21.

최근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과 헤드폰의 사용이 청각 및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층에서 이러한 기기를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와의 연관성

영국 런던에 거주하는 25세 여성 소피는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는 있지만, 그 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사람의 말을 빠르게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소피는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 진단을 받았습니다. 전문가들은 소피가 평소 사용하던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 이러한 문제의 원인일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APD는 청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뇌에서 소리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태로, 특히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이러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뇌의 소리 처리 능력 저하 우려

청각학자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외부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뇌의 자연스러운 소리 처리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뇌의 청각 처리 능력이 아직 발달 단계에 있으므로, 이러한 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뇌의 소리 필터링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영국 청각학회 회장인 클레어 벤튼은 "뇌의 청각 처리 능력은 청소년기에 발달하며,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청력 보호에 대한 긍정적 측면

반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청력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은 소음 제거 기능이 활성화된 이어폰을 사용하면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사용자가 더 낮은 볼륨으로도 음악이나 영상을 감상할 수 있어 소음성 난청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습니다.

결론 및 권장 사항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은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청취 환경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청각 정보 처리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의 사용에 있어 적절한 균형이 필요합니다. 특히 청소년과 젊은 성인들은 장시간 사용을 피하고,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며, 적절한 볼륨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청각에 이상을 느낄 경우 전문적인 진단과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